두 파트의 시험을 통과하고 CMA 자격을 손에 넣었다면, 이제 LinkedIn 프로필을 업데이트하셔야겠죠. CMA Badge도 자격증에 추가하시고요.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라는 사실, 아시나요? CMA는 한 번 따고 끝나는 자격증이 아니라, 매년 관리하고 유지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CMA 취득 후 반드시 알아야 할 CMA 자격증 유지 조건과 갱신 절차를 정리합니다. 전문 교육인 CPE 학점 취득 조건, 멤버십 갱신, 윤리 규정 준수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 연회비 및 갱신 주기와 관련된 실전 팁까지 자세히 안내해 드릴게요.
1. CPE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학점 이수
CMA 시험을 모두 통과하고 학력 및 경력 자격 조건을 모두 갖추면 Certified Management Accountant (CMA) 자격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CMA 자격은 취득하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매년 관리하고 유지해야 하는 자격이기 때문에, CMA 시험 합격은 시작일 뿐, CMA 자격 유지에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CMA 자격증 유지 조건 중 첫 번째는 CPE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즉 전문교육 학점 조건을 충족하는 것입니다.
1) 기본 규정
- 매년 총 30시간의 CPE 학점을 이수해야 해요.
- 그 중 2시간은 윤리 교육을 필수로 이수해야 합니다.
- 경영 회계, 재무 관리, 윤리, 기술, 리더십 등 업무 관련 분야의 학점을 이수하면 됩니다.
- 자격증 취득 다음 해 1월 1일부터 CPE 의무가 시작됩니다.
2) CPE 학점 이수 주기
- 매년 1월 1일~ 12월 31일
- 달력 기준으로 매년 리셋
- 예: 2025년 7월에 CMA를 취득했다면, CPE 의무는 2026년 1월 1일부터 시작되며 2026년 12월 31일까지 30시간을 완료해야 합니다.
3) 왜 중요한가?
CPE는 CMA로서의 전문성과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게 해줍니다. 새로운 회계 기준, 세법, 기술 트렌드가 계속 바뀌기 때문에, 최신 지식을 갖춘 전문가로 남기 위해서는 매년 학습이 필수입니다.
저도 회계사 자격을 취득한 후로 CPE 학점을 꾸준히 이수하고 있습니다. 30학점을 모두 이수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회계와 재무 분야뿐만 아니라 윤리, 비즈니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4) Carryover 규정
한 해 CPE 학점 이수 시간이 30시간을 초과하면 최대 10시간까지 다음 해로 이월이 가능합니다. 윤리 시간은 매년 별도 이수가 필요하다는 점 참고하세요!
참고로, 본인의 IMA 온라인 어카운트 Transcript에는 이월이 자동으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니 직접 집계하시고 잘 기록해 두셔야 합니다.
5) CPE 학점이 부족하면?
한 해 동안 CPE 30학점을 모두 이수하지 못한 경우, 다음 해에 부족한 학점을 보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올해 25학점밖에 이수하지 못했다면, 내년에 30학점 + 올해 부족분 5학점, 총 35학점을 이수해야 해요.
2. IMA 멤버십 갱신 (IMA Membership Renewal)
CMA 자격증 유지를 위한 두 번째 조건은 IMA 멤버십 갱신 및 CMA 자격 유지비를 납부하여 IMA 회원 자격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IMA(Institute of Management Accountants)는 공인관리회계사협회로, CMA를 관리하는 기관입니다. CMA 시험에 이미 응시하셨다면 IMA 회원에 가입이 되어 있으실 텐데,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도 CMA 자격증 유지를 위해 매년 멤버십을 갱신(renewal)해야 해요.
1) 멤버십 갱신 주기
- IMA 멤버십 갱신은 가입일 기준(anniversary-based)으로 적용됩니다.
- 예: 5월 15일 IMA에 가입했다면, 매년 5월 경에 갱신하게 됩니다.
- Renewal date를 놓치는 경우, 일정 기간은 유예되나 자격이 ‘비활성’ 상태가 될 수 있어요.
2) 매년 내야 하는 비용
1️⃣ IMA 연회비 (Annual Membership Fee)
- IMA 회원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 회비로, 모든 IMA 회원(비 CMA 포함)이 납부해야 합니다.
- 실제 결제 방식: IMA 포털에서는 연회비와 CMA 유지비가 합산된 하나의 청구서로 발급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기준 전문 회원(Professional)의 경우
2️⃣ CMA 유지비 (CMA Annual Maintenance Fee)
- CMA 자격을 active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추가 비용입니다. CMA 자격이 없는 회원은 납부하지 않습니다.
3) 실제 결제 방식
IMA 포털에서는 연회비와 CMA 유지비가 합산된 하나의 청구서로 발급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기준 전문 회원(Professional)의 경우:
- IMA 연회비: $295
- CMA 유지비: $30
- 총 결제액: $325
회원 유형(전문가·학생·학계)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므로, 매년 IMA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금액을 확인하세요!
4) 멤버십 연체 또는 비활성 상태가 되면?
IMA 연회비를 지불하지 않아 연체가 되거나 CPE 학점을 이수하지 못하면,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CMA 자격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명함이나 프로필에 CMA라고 쓸 수 없어요.
CMA 자격을 재활성화하려면, 미납된 회비를 납부하고 미이수한 CPE 학점을 추가 이수해야 합니다. 회비를 납부하고 CPE 학점을 이수한다고 CMA 자격을 언제든 활성화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2년이 지나면 연장이 불가능하니 유의하세요!
💡 CMA 자격증 취득을 위한 자격요건 가이드는 👉🏻 여기를 참고하세요.
3. IMA 직업윤리 규범 준수
CMA 자격을 얻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모든 CMA는 CMA 자격증 유지 조건으로써 IMA의 직업윤리 규범, 더 자세하게는 Statement of Ethical Professional Practice(직업윤리 실천 선언문)을 준수해야 합니다. 위반 시 CPE 이수 여부와 관계없이 징계 또는 자격이 박탈될 수 있어요.
CMA는 IMA 회원으로서, 그리고 회계사로서 윤리적으로 행동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IMA의 윤리 원칙에 따라 정직하고 공정하며, 객관성을 가지고 책임감 있게 행동해야 하며, 본인뿐만 아니라 조직 내 인원들에게도 이런 원칙 준수를 권장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CMA 시험에 아직 응시하지 않으신 분들은 CMA 시험 합격 전략: 파트별 공부 팁 & 시간 관리 노하우 한눈에 보기를 추천 드립니다!
4. 스트레스 없는 CMA 자격증 갱신 팁
1) 분기별 목표 세우기
- 1년 CPE 30학점 이수는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연말에 30학점을 모두 몰아 듣다가 학점을 다 채우지 못하는 분들이 많아요.
- 분기마다 8~10시간씩 미리 CPE 학점을 확보해 두면 연말에 힘들이지 않고 충분히 30학점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2) 윤리 교육 먼저 듣기
- CMA 자격증 유지 조건 중 하나는 2시간 이상의 윤리 교육 학점 이수입니다. 윤리 교육이 필수인 만큼, 상반기 중 완료해 두시길 추천합니다.
3) 이월 제도 활용하기
- 총 CPE 이수 학점이 30학점을 초과하면 최대 10시간까지 다음 해로 이월됩니다.
- 이월 제도를 활용하여 충분히 CPE 학점을 들으시면 이월 제도를 활용해 초과되는 학점을 다음 해로 이월하실 수 있어요. 다음 해에도 여유 있게 학점 이수가 가능합니다.
4) 리마인더 설정하기
- 매년 12월 1일: CPE 점검 알림
- IMA 멤버십 갱신 한 달 전: 회비 및 CMA 유지비 결제 알림
5) IMA 혜택 활용
- IMA에서 제공하는 무료·할인 웨비나 활용
- 지역 챕터 모임을 통한 네트워킹 이벤트 참여 + CPE 학점 이수
5. 실수 없이 CMA 자격증 유지하기
1) 자주 하는 실수
- CPE 학점 이수 주기와 IMA 멤버십 주기 혼동
- 윤리 교육 학점을 누락하는 실수
- 이월 가능 시간을 놓치는 실수
- 갱신 지연으로 CMA 자격을 비활성 상태로 만드는 실수
2) CMA 자격증 갱신 체크 리스트
✅ 매월 CPE 기록 업데이트
✅ 12월 31일까지 30시간 이수 (윤리 포함)
✅ IMA 포털에 외부 교육 기록·수료증 저장
✅ 가입일 기준으로 회비·유지비 결제
✅ 부족 시 다음 해에 보완 (60시간 누적 방지)
✅ IMA 직업윤리 규범 준수
🎯 어떤 회계 자격증이 나에게 맞을지 고민인 분들에게는 CPA vs CMA vs EA: 미국 회계 자격증 비교 가이드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