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aptop and a open book in a study room with good ambient

미국에서 회계나 재무 분야 커리어를 발전시키고 전문성을 키우고자 하시는 분들 중 CMA 자격증을 보유하고 계시거나 자격증 취득을 고려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CMA는 세무나 회계 감사를 중심으로 하는 다른 자격증들과 달리, 관리 회계 및 전략적 재무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국제적인 자격증으로 커리어 확정성이나 해외 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이죠.

이번 글에서는 CMA 시험 공부법과 효율적인 시간 관리 노하우를 안내합니다. 열심히 공부하는 것보다 ‘전략적으로’ 공부하는 게 더 중요한 CMA 시험 합격 방법. 직장 생활과 병행하거나 회계 전공이 아닌 분들도 한눈에 이해하고 쉽게 적용하실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1. CMA 시험 파트 구조와 형식

1) 시험 구성 개요

CMA 시험은 총 두 개의 파트로 나누어져 있으며, 순서에 상관없이 응시할 수 있습니다.

Exam Part제목주요 과목 영역과목수
Part 1Financial Planning, Performance, and Analytics
(재무 계획, 성과 및 분석)
외부 재무보고, 예산, 성과관리, 원가, 내부통제, 기술 & 분석6과목
Part 2Strategic Financial Management
(전략적 재무 관리)
재무제표 분석, 기업 재무, 의사결정, 리스크 관리, 투자, 윤리6과목

각 파트 당 시험 시간은 총 4시간이며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 객관식 시험: 3시간 (100문항)
  • 서술형 시험: 1시간 (에세이 시나리오 2문항, 총 10~12개 문제)

시험은 파트당 총 4시간이지만, 파트별로 시험을 각각 응시해야 합니다. 쉽게 두 과목의 시험을 각각 치른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CMA 시험은 연간 세 번의 응시 기간 내에만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Prometric 시험 센터에서 응시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컴퓨터로 치러지고 시험 응시가 가능한 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1월 ~ 2월
  • 5월 ~ 6월
  • 9월 ~10월

2) CMA 자격 요건

CMA 자격증 취득을 위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학사 학위 소지 또는 이에 준하는 전문 자격증
  • 파트 1과 파트 2 시험 모두 합격
  • 관리 회계 또는 재무 관리 관련 2년 연속 경력
  • IMA 정회원 가입

3) 시험 채점 방식 및 비율

총 500점 만점에 3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두 파트 모두 360점 이상을 받아야 합니다. 시험은 컴퓨터로 응시하며, 객관식 시험 MCQ 100문제를 먼저 끝내고 바로 서술형 시험인 에세이 시험으로 넘어갑니다. 객관식 문제의 50% 이상을 맞아야 에세이 시험으로 넘어갈 수 있어요. 만약 객관식 문제(MCQ)의 반 이상을 틀리는 경우 서술형 시험을 응시할 수 없으며 시험장을 나와야 합니다.

객관식과 서술형 시험은 아래의 퍼센티지로 시험 결과에 반영됩니다.
객관식(MCQ) 시험: 총점의 75%
서술형(Essay) 시험: 총점의 25%


2. CMA 파트 1 공부 팁: 재무 계획, 성과 및 분석

1) 파트 1 과목 구성 및 비중

CMA Part 1은 범위가 넓고 회계적인 내용이 많아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더 어렵다고 느끼는 파트입니다. 구성 과목과 비중은 아래와 같아요.

과목비중
External Financial Reporting Decisions (외부 재무 보고 결정)15%
Planning, Budgeting, and Forecasting (계획, 예산 수립, 예측)20%
Performance Management (성과 관리)20%
Cost Management (원가 관리)15%
Internal Controls (내부 통제)15%
Technology and Analytics (기술 및 분석)15%

2) 파트 1 공략 팁

[1] 외무 재무보고부터 시작하세요

회계 배경이 있다면 가장 친숙한 영역입니다. 이 부분을 먼저 정복하면 자신감을 얻을 수 있어요.

[2] 공식은 플래시카드로 반복 학습

원가 회계나 차이 분석은 수식이 많습니다. 직접 플래시카드를 만들거나 Gleim, Wiley 등 리뷰 코스에서 제공되는 자료를 활용하세요. 특히 계획 및 예산 수립 과목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섹션이므로 초기에 집중이 필요해요. 플래시카드로 개념을 반복해서 공부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3] 시간 제한 문제 연습 필수

예산 문제는 계산량이 많고 복잡합니다. 실제 시험처럼 시간을 정해놓고 풀어보는 훈련이 중요해요.

[4] 기술 및 분석 파트도 무시하지 마세요.

상대적으로 새롭게 추가된 영역이라 간과하기 쉬운데, 최근 비중도 높고 출제율도 꽤 높습니다. 가볍게 보면 안 돼요.


3. CMA 파트 2 공부 팁: 전략적 재무 관리

1) 파트 2 과목 구성 및 비중

Part 2는 재무/경영 전략 중심의 내용으로, 재무 전공자들이 더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트 2에서 커버하는 과목과 비중은 아래와 같아요.

과목비중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재무제표 분석)20%
Corporate Finance (기업 재무)20%
Business Decision Analysis (의사결정 분석)25%
Enterprise Risk Management (리스크 관리)10%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투자 결정)10%
Professional Ethics (직업윤리)15%

2) 파트 2 공략 팁

[1] 의사결정 분석 파트는 반드시 공략하세요

손익분기점, CVP 분석, 마진, 차이 분석 등 핵심 계산 문제들이 객관식과 에세이 모두에서 자주 출제됩니다. 실전 감각 필수!

[2] 기업 재무 기본 개념 완벽 숙지

WACC, 자본 구조, 자본 비용 계산법은 반드시 암기해야 합니다.

[3] 윤리 파트를 가볍게 보지 마세요

시험 준비 후반에 건너뛰기 쉬운 영역이지만, 전체 15%나 차지하며 에세이에도 자주 나옵니다. 사례 중심으로 암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 이론을 실전 사례와 연결하세요

회사 재무제표나 케이스 스터디로 자본 예산, 리스크 분석 등을 실제처럼 풀어보면 효과적입니다.


4. CMA 시험 실전 대비 전략과 공부법

1) 시험 준비 전 체크포인트: 마인드 셋 & 전략

CMA 시험 준비는 단순히 공식을 외우거나 동영상을 보는 것이 다가 아닙니다. 계획적인 학습과 꾸준한 실천력, 전략적인 접근이 있어야 합격이 가능합니다.

시험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아래를 먼저 진행하세요.
  • 시험 응시 기간을 미리 정하고 등록하세요. 시험 일정이 정해져야 긴장감이 생깁니다.
  • 각 파트당 12~16주 분량의 학습 계획표를 만드세요.
  • 주 단위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세요 (예: 1주차 – 외부 재무보고, 2주차 – 예산과 계획 등)
  • 학습 시간을 크게 세 단계로 나눠보세요:
    • 개념 학습 (50%)
    • 문제 풀이 (30%)
    • 복습 (20%)

모든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한 다음에 넘어가려 하면 중간에 포기하게 되기 쉽습니다. 전체를 가볍게 한번 훑고, 다시 돌아와 깊이 있게 반복하는 스파이럴 학습법을 추천합니다.

현재 자신의 상황에 따라 학습 기간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각 파트당 3~4개월(주당 10~15시간)의 학습 시간을 확보하시길 추천합니다. 매주 목표를 설정하고 체크리스트로 진도를 관리하시는 것 또한 추천해요. 시험 바로 전에는 오답을 복습하고 모의고사 주간을 따로 계획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2) 직장인을 위한 현실적인 시간 관리 전략

시험 준비한다고 퇴사할 필요는 없습니다. 전략적인 시간 분배와 현실적인 계획이 있다면 꾸준히만 해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어요.

[1] 직장인에게 최적화된 주간 스터디 루틴

요일스터디 루틴디테일/목적
월요일복습 + 퀴즈 (1시간)지난 주 학습 내용을 복습하고 간단한 퀴즈로 마무리.
다음 주제 시작 전 머릿속 정리 시간
화요일새로운 주제 학습 (2시간)가장 집중력이 높은 요일. 새로운 주제 시작에 적합.
뇌가 가장 신선할 때 핵심 개념 흡수
수요일휴식 또는 약한 부분 복습완전 휴식하거나 어려운 개념 재학습.
과부하 방지. 틈새 정리
목요일객관식 문제 풀이 (1.5시간)실제 시험 대비 훈련. 새로운 개념 적용 시간.
이론 적용 연습 및 시간 감각 향상
금요일학습 또는 에세이 연습 (1.5시간)파트별 학습 마무리 또는 에세이 작성 연습.
논리적 사고 훈련
토요일실전 모의고사 (2시간)실제 시험 시뮬레이션 훈련.
제한 시간 안에 문제 풀기. 실전 감각 유지
일요일복습 (오답 정리) + 밀린 내용 보완/진도 점검 (2시간)이번 주 전체 정리로 한 주 마무리.
다음 주를 위한 준비 단계

[2] 왜 이 루틴이 효과적일까

  • 월요일은 지난 주 복습 → 장기 기억 강화
  • 화요일에 새 주제 시작 → 신선한 뇌에 입력 최적화
  • 수~금은 반복과 적용 학습
  • 주말은 실전 시험 대비 + 전체 내용 복습

📍 팁: Becker나 Wiley CMAexcel에는 자동 스케줄러가 포함되어 있어요. 리뷰 코스로 공부하시는 분들은 일정 관리 스트레스 없이 스케줄러를 활용하시고 학습에만 집중하세요.


3) 객관식과 에세이 유형 공략법

[1] 객관식 문제(MCQ) 공략법

  • 답 맞추기보다 오답 해설 중심으로 공부하세요.
  • 단순 암기보다 문제 출제 논리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어려운 문제는 표시해두고 반복 복습하세요.
  • 매일 20~30문제씩 꾸준히 푸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실전처럼 꼭 시간에 제한을 두고 연습하세요.

[2] 서술형(에세이) 문제 공략법

  • 키보드로 연습하세요. 손으로 쓰는 연습은 비효율적입니다.
  • 가능하면 소제목, 번호, 포인트 정리 방식으로 구성하세요.
  • 답을 확신하지 못해도 논리적인 이유를 반드시 작성해야 합니다.
  • 헤딩/포인트 정리로 구조화된 답안을 만들어내는 연습을 하세요.
  • 최소 10문항 이상 직접 작성해 보는 걸 추천합니다

대부분의 시험 준비 프로그램은 에세이 예제나 채점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적극 활용하세요!


4) 집중력 유지 및 실전 대비 공부 전략

[1] 주간 단위로 학습 진도 관리하기

엑셀이나 간단한 체크리스트로 챕터 완료 여부를 기록하세요.

[2] 실제 시험 환경에 익숙해지기

  • 시험 전, 전체 모의고사를 2회 이상 실제 시험 환경 및 시간에 맞춰 풀어보세요.
  • 시험 환경에 익숙해 지면 시험 당일 긴장감을 낮추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3] 모멘텀 유지하기

  • 하루 이틀 시험공부를 미루다 보면 다시 책에 손을 대기가 어려워집니다. 바쁜 날에도 15분이라도 공부하는 No Zero Day 원칙을 세우거나, 일주일에 하루 정도 보상 day를 정해두고 그날에만 아무 생각 없이 푹 쉬는 연습을 하세요.
  • 공부하기 싫어도 일단 책상에 앉는 습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강약 조절하기

  • 약한 영역을 중심으로 복습하고 강한 영역은 주기적으로 반복합니다.

[5] 포모도로 기법 활용하기

  • 포모도로 시간 관리 방법은 25분 집중하여 공부하고 5분 휴식하는 방법으로 집중력을 극대화하는 기법입니다.
  • 꼭 25분 집중 + 5분 휴식을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집중-휴식 주기를 찾아 공부하세요.

[6] 최종 복습 전략

  • 시험 2~3주 전부터는 틀렸던 문제 중심으로 약한 부분을 복습하세요.
  • 중요한 공식을 한 장으로 정리한 포켓 노트 만들어 복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타자 연습이라고 생각해도 좋으니 에세이(서술형) 답변을 써보는 연습을 하세요. 답변 구조를 익혀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

완벽하게 하려는 욕심보다, 꾸준한 실천이 더 중요하다는 점 잊지 마세요. 시험 문제를 100% 모두 맞혀야 합격하는 것이 아닙니다. 전략적 접근과 멘탈 관리가 승부를 가립니다.


5. 추천 CMA 교재 & 강의

CMA 시험 준비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리뷰 코스와 교재, 강의 플랫폼이 있지만, 학습 스타일이나 상황에 따라 적합한 교재가 다를 수 있습니다. 저도 교재 선택에 시간을 많이 투자했었고 리뷰 코스를 활용하여 한 번에 두 파트 모두 합격했어요.

자세한 비교와 추천 대상을 별도 포스트에 정리해서 교제 선택에 도움이 되실 수 있도록 할게요!


맺으며: 구조 + 전략 = 합격

CMA 시험은 단순한 지식 암기보다 전략적인 학습 루틴과 시간 관리가 훨씬 중요합니다. 시험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고, 본인에게 맞는 루틴을 세운다면 직장인도 무리 없이 병행 가능해요. 저도 풀타임으로 일하면서 공부했고 한 번에 합격했습니다. 꾸준하게 믿음을 가지고 준비하시면 반드시 합격할 수 있어요!

👉🏻 다음 단계 추천 콘텐츠:

Share via:

Similar Posts